읍참마속

카테고리 없음

읍참마속

뉴가브리엘 2025. 5. 10. 16:25
728x90
반응형

**읍참마속(泣斬馬謖)**은 '눈물을 머금고 마속의 목을 벤다'는 뜻으로, 사사로운 정을 버리고 공정하게 법을 집행함을 의미하는 고사성어입니다.


---

📖 유래 및 의미

이 성어는 중국 삼국시대 촉나라의 재상 제갈량과 그의 부하 마속의 일화에서 유래했습니다.  제갈량은 북벌을 위해 마속을 가정(街亭)의 수비장으로 임명하며 명확한 전략을 지시했습니다.  그러나 마속은 이를 어기고 산 위에 진을 쳐 적에게 포위당해 대패하였습니다.  이에 제갈량은 군율을 지키기 위해 눈물을 흘리며 마속을 참형에 처했습니다  .

이 일화는 조직의 규율과 원칙을 지키기 위해서는 개인적인 감정을 배제하고 공정하게 처신해야 함을 상징합니다.


---

🧾 현대의 사용 예시

'읍참마속'은 현대 사회에서도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됩니다:

기업 경영: 성과가 저조한 직원을 감정에 치우치지 않고 공정하게 평가하여 인사 조치를 취할 때.

정치 분야: 정치인이 측근의 비리를 알고도 엄정하게 법적 조치를 취할 때.

교육 현장: 학생의 잘못에 대해 교사가 개인적인 애정을 넘어서 공정하게 징계할 때.

가정 내 갈등: 자녀 간의 다툼에서 부모가 공정하게 판단하여 편애 없이 해결할 때.


이처럼 '읍참마속'은 공정성과 원칙을 중시하는 결단을 내릴 때 사용됩니다  .


---

📝 요약

한자 구성: 泣(울 읍) + 斬(벨 참) + 馬(말 마) + 謖(일어날 속)

직역: 울면서 마속의 목을 벤다

의역: 사사로운 정을 버리고 공정하게 법을 집행함

사용 예시: 조직의 규율을 위해 감정을 배제하고 공정한 결정을 내릴 때


이 성어는 공정성과 원칙을 지키는 결단의 중요성을 강조하며,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그 의미를 되새기게 합니다.

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