독서지도사 공부 2일째

카테고리 없음

독서지도사 공부 2일째

뉴가브리엘 2021. 12. 29. 01:57
728x90
반응형

독서지도사 도전 2일째

 

     독서의 즐거움

 

1. 독서지도사 어떤 것을 공부하는가

  

     독서와 독서지도의 이해

 

     독서의 필요성

 

     독서의 원리

 

     독서의 자료 선정(신문, 책 등)

 

    서평식 감상문과 글쓰기 지도

 

    교육과 교육학

 

    아동발달 상담지도

 

    유아 초등학생지도

 

    중학생 논술 지도

 

    고등학생 입시논술 지도

 

    아이들의 심리파악을 하여야 잘 지도할 수 있다

 

    아동문학에 대한 깊은 이해

 

    과정중심 독서지도

 

2. 어떻게 공부하여야 하는가

 

     예습도 중요하지만  복습을 충실히

 

 

 

3. 독서-독자와 텍스트의 만남

 

   독서지도사의 목표 :

 

     아는것은 좋아하는 것만 못하고

 

   좋아하는 것은 즐기는 것만 못하다(공자)

 

  나와 만난 아이들이 나를 만남으로서

 

  평생 책을 좋아하고 책 읽기를 즐기는 것

 

  독서는 창문이다-독서는 세상 읽기다.

 

  창문을 통하여 세상을 보다

 

  책이라는 창문을 통해서 세상을 보다

 

  하루라도 읽지 않고는 살아갈 수 없다

 

  현대 사회의 독서 행위는 세상을 읽는 것

 

  해일이 밀려 오고 있습니다.-과거의 독서는 해독

 

  텍스트-책, 미술작품, 신문, 음악

 

  텍스트를 생산하는 사람-작가

 

  작가가 자신의 사상이나 경험 반영하여 생산

 

  독서란 작가와 독자가 의미를 협상하고 소통하는 과정

 

  책에 대한 관점이 다양하게 변해옴

 

4. 의미를 해석하는 근원을 누구한테 두는가

 

    전달관점-의미의 근원을 필자에 둠(과거)

    필자의 사상, 가치관을 잘 파악

 

    번역관점-의미의 근원을 텍스트에 둠

    텍스트의 통일성 잘 파악

 

    상호작용 관점-독자와 텍스트 가 상호작용(독자의 몫이 커짐)

    과정 중심으로 교육이 바뀜

 

    최근

   교섭관점-의미의 근원을 독자에 둠

   텍스트의 의미를 불확정 적인 것으로 봄

 

   무게중심이 독자에게로 내려옴

 

   사회문화적 소통작용으로 독서라는 것을 바라보는 것 중요시됨

 

5. 의미 구성의 관점

   필자 작가 누군가가 언어를 가지고 생산물 공유

 

   책 한 권 작가가 생산

 

   나는 학교에 간다-입 밖으로 배출 , 글로 써서 표현

 

    독자가 읽었을 때 개인적 지식이 됨-명제적 망상구조(심리학적 용어)를 가지고 있음

 

    공유된 지식-개인적 지식-표출-공유된 지식

 

    내 안에서 의미가 어떻게 재 구성되는가

 

    9살 인생 - 독서

    작품은 똑같은 작품이지만 시간의 흐름과 역사의 흐름

    사회변화에 따라

    사회문화적 소통 관점으로 바라보아야 함

 

    인간은 언어를 목적에 따라 사용-독서 맥락

 

    독서 목적, 목표 설정(교수학습:평가)-독서 맥락, 교육 맥락

 

    글을 사용하는 목적, 쓰는 목적, 읽는 목적

 

6. 언어 사용목적에 따른 텍스트 유형

 

    과거-설명문이다, 전기문이다, 논설문이다

 

    현재-목적에 따라서 설득하는 글, 친교 표현의 글, 정서 표현의 글

 

    연애편지를 쓰기 위해 시(정서 표현의 글) 읽기-설득의 목적

 

    독서교육의 주요 요인-학교 내, 학교 밖

 

    학교 내-국어교과의 하위 영역

    학교 밖-독서클럽 등 중요 비중, 전문지도사

 

    상호 보완 상호 중요

 

7. 삶으로서의 독서

 

    책 읽는 즐거움

 

    현대사회의 특징-지식과 정보가 중요한 사회다

 

   시사토론 :  찬성의 근거, 반대의 근거

   자료 찾기 중요

 

   인간존중의 사회, 가치의 다원화 개별화

 

   공무원의 일-언어를 가지고 하는 일(듣고, 말하고, 쓰고, 읽고)

 

   현대사회는 독서 사회다.-언어를 다루는 능력이 떨어지면 사회 성공확률이 떨어짐

 

   책을 통해서 즐거움 찾기-앎의 즐거움, 깨달음의 즐거움, 느낌의 즐거움, 성취의 즐거움

 

  

   오늘 공부는 여기까지

 

   즐겁고 행복한 아침이 기대된다.

 

728x90
반응형